본문 바로가기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3 촬영지 몇부작 타임라인 의학 용어 리뷰

조미료스토리 2025. 1. 21.

낭만닥터 김사부3 티저
낭만닥터 김사부3 티저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3 몇부작 촬영지 타임라인 의학 용어 리뷰

낭만닥터 김사부 3강원도 정선에 위치한 돌담병원을 중심으로 촬영되었습니다. 실제로 돌담병원의 배경이 되는 건물은 정선에 위치한 병원을 개조한 것으로, 그 주변 자연경관이 극의 배경으로 자주 등장하며 극의 몰입감을 높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의학적 장면들은 서울에 있는 촬영 세트장에서 주로 진행되었습니다.

https://youtu.be/NrhI6STOW1E?si=Cd4d4E5rf2LMvhPc

낭만닥터 김사부3 촬영지

장소명 주소
성수생각공장 데시앙플렉스 서울 성동구 아차산로17길 49 성수역 4번출구 버스 12분
소피텔 엠베서더 서울 라티튜드32 서울 송파구 잠실로 209 잠실역 10번출구 도보 6분
쌀통닭 신천점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10길 13 잠실새내역 4번출구 도보 5분
낙토 인천 강화군 선원면 연동로99번길 43
검단소방서 인천 서구 원당대로 736 완정역 3번출구 버스 7분
해빛 고양고갯마루쉼터 경기 고양시 덕양구 보광로 379
참사랑어린이집 경기 고양시 덕양구 원당로125번길 40-12
대당빌라 경기 고양시 덕양구 원당로135번길 53
다락고개추어탕 경기 고양시 덕양구 대덕로 64-7
솔트베이 드라이빙레인지 경기 시흥시 마유로 987
장군제2셀프주유소 경기 포천시 영북면 호국로 3428
돌담병원 경기 포천시 영북면 산정호수로 771
산정호수 둘레길 경기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 205-1
카페라로사 앞 경기 동두천시 벌마들로 59
의정부지방법원 경기 의정부시
스테이564 경기 남양주시 불암로 59 별내역 2번출구 버스 12분
양평버스터미널 경기 양평군 양평읍 시민로 91
현대꽃화원 경기 가평군 가평읍 오리나무길 25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스포츠파크길 135
인터컨티넨탈 알펜시아 평창리조트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솔봉로 325
문화8구역(재개발지역) 대전 중구 천근로69번길 72

낭만닥터 김사부3 촬영지 요약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3의 주요 촬영지는 서울, 경기, 인천, 강원, 대전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장소는 다양한 장면에서 배경으로 활용되었으며, 특히 병원 장면의 주요 촬영지는 포천에 위치한 돌담병원이 사용되었습니다. 각 장소들은 드라마의 현실감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했으며, 촬영지 방문을 원하는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시리즈 타임라인

년도 내용
1998년 장현주가 거산대학교에 입학
1999년 정인수가 거산대에 입학
2001년 윤서정이 거산대에 입학
2002년 장현주와 부용주가 거대병원에서 처음 만나며, "김사부"라는 이름을 얻게 됨. 여운영이 돌담병원 원장으로 부임
2003년 양호준, 배문정이 거산대에 입학
2005년 강동주, 도인범이 거산대에 입학
2007년 서우진과 차은재가 거산대에 입학
2008년 김사부와 박민국이 버스 사고를 당하며 트라우마와 상처를 얻게 됨
2009년 윤아름이 거산대에 입학, 이선웅이 한국대에 입학
2011년 강동주와 도인범이 수련의로서 의사 생활을 시작. 윤서정이 강동주를 처음 만나고, 김사부가 윤서정을 산에서 구조
2012년 장동화가 거산대에 입학
2016년 강동주와 도인범이 전문의가 되고, 강동주가 VIP 수술 실패 후 돌담병원으로 전출됨
년도 내용
2018년 서우진과 차은재가 전문의가 됨.
2019년 신명호 회장이 사망. 강동주가 군 복무, 윤서정이 미국으로 연수. 배문정이 돌담병원에 들어오고, 도윤완이 이사장으로 부임.
2020년 윤아름이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되고, 돌담병원이 거대재단에서 독립함. 이선웅이 군의관으로 입대.
2022년 권역외상센터가 돌담병원에 세워짐.
2023년 장동화가 돌담병원에 순환 근무로 오고, 차진만이 외상센터장으로 부임. 강동주가 센터장 대행을 맡으며 윤서정이 복귀.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시리즈 요약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시리즈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 이어지는 스토리로, 각 시리즈마다 주요 인물들이 의사로 성장하는 과정과 김사부와 돌담병원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룹니다. 각 시점에서 새로운 인물들이 입학하고, 돌담병원에서 펼쳐지는 의학적 사건들이 주요 줄거리를 형성합니다.

낭만닥터 김사부3 의학용어

용어 설명
헤모페리 (Hemoperitoneum) 혈복강, 복강 내 출혈을 의미
리버 인저리 (Liver Injury) 간 손상
스플린 (Spleen) 비장,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장기
제너럴 (General Anesthesia) 전신마취
세데이션 (Sedation) 진정 또는 진정제 투여
아이브이씨 인저리 (Inferior Vena Cava Injury) 하대정맥 손상
스투퍼 (Stupor) 강한 자극에만 반응하는 상태
인저리 사이트 (Injury Site) 손상 부위
CS 보드 (Cardiothoracic Surgery Board) 흉부외과 전문의
GS (General Surgery) 일반외과
컴바인 (Combine Operation) 합동 수술
업도미널 에올틱 인저리 (Abdominal Aortic Injury) 복부 대동맥 손상
다이아프람 인저리 (Diaphragm Injury) 횡경막 손상
캔서 베슬 인베이젼 (Cancer Vessel Invasion) 암의 혈관 침윤
보비 (Bovie) 전기소작기, 출혈 지혈 및 조직 절개에 사용
BP (Blood Pressure) 혈압
어레스트 (Arrest) 심정지
PEA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무맥성 전기활동, 맥박은 없으나 전기 신호는 남아 있는 상태
용어 설명
TA (Traffic Accident) 교통사고
SLUDGE Symptom 침흘림(Salivation), 눈물(Lacrimation), 배뇨(Urination), 배변(Defecation), 구토(Gastric Emesis) 등의 증상
아트로핀 (Atropine) 부교감신경 차단제
스투퍼 (Stupor) 강한 자극에만 반응하는 상태
코마 (Coma) 혼수상태
비디오 라린고 (Video Laryngoscope) 비디오 후두경
ROSC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자발순환 회복
탐폰 (Cardiac Tamponade) 심낭압전, 심장의 압력이 높아져 혈액 순환이 어려운 상태
페리카디오 (Pericardiocentesis) 심낭천자, 심낭에 축적된 액체를 제거하는 수술
타키카디아 (Tachycardia) 빈맥, 심장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빠른 상태
마이드리아시스 (Mydriasis) 동공 산대, 동공이 확장된 상태
헤모토락스 (Hemothorax) 흉강 내에 혈액이 축적된 상태
쏘라코스토미 (Thoracostomy) 흉관 삽관술, 흉강에 축적된 공기나 액체를 배출하는 수술
에크모 (ECMO) 체외막 산소 공급, 산소를 공급해 혈액을 다시 몸속에 넣는 의료 장비
NPO (Nothing Per Os) 금식, 음식 섭취를 금하는 처치
로벡토미 (Lobectomy) 폐엽 절제술, 폐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수술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 가스 분석, 혈액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검사
FFP (Fresh Frozen Plasma) 신선 동결 혈장, 혈액에서 혈장을 분리해 동결한 것
RIS (Rapid Infusion System) 급속 수액 주입 시스템
용어 설명
헤모박 (Hemovac) 배액관, 수술 후 피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
레보아 (REBOA) 대동맥내 풍선폐쇄 소생술, 대동맥을 차단해 출혈을 줄이는 응급처치
스플린 (Spleen) 비장, 인체에서 면역작용과 혈액 저장을 담당하는 기관
포린바디 (Foreign Body) 이물질, 신체에 들어온 외부 물질
팩알비씨 (Packed RBC) 농축 적혈구, 출혈 환자에게 사용하는 혈액제제
플루이드 (Fluid) 체액, 신체의 유체 상태 물질
데미지 컨트롤 (Damage Control) 손상통제, 응급 수술 중 손상을 최소화하는 치료법
TA (Traffic Accident) 교통사고
BST (Blood Sugar Test) 혈당검사
PEA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무맥성 전기활동, 심장 전기 신호는 있지만 박동이 없는 상태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 가스 분석,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검사
카디오메갈리 (Cardiomegaly) 심장 비대, 비정상적으로 심장이 커진 상태
풀모너리 이데마 (Pulmonary Edema) 폐부종, 폐에 체액이 차는 상태
라식스 (Lasix) 이뇨제의 일종으로 체내의 과도한 수분을 제거하는 약물
페모랄 아테리 (Femoral Artery) 대퇴동맥, 다리로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동맥
체스트 (Chest) 가슴, 흉부
다이섹 (Aortic Dissection) 대동맥 박리, 대동맥 내벽이 찢어져 혈액이 새는 상태
TEVAR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흉부 혈관 내 대동맥 인조혈관 치환술
GCS (Glasgow Coma Scale) 글래스고 혼수척도, 환자의 의식 수준을 평가하는 척도
드라우닝 (Drowning) 익사, 물에 빠져 숨을 쉴 수 없는 상태

의학용어 요약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3에서는 다양한 의학적 용어가 등장합니다. 간 손상(리버 인저리), 전신마취(제너럴), 심정지(어레스트) 등과 같은 용어들이 수술 장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특히, 의학적인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긴박한 장면의 사실감을 더해주며, 시청자들에게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낭만닥터 김사부 3 평가 및 리뷰 - 호평

깊어진 주제의식

이번 시즌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 중 하나는 김사부가 스스로 자신의 방식을 다시금 되돌아보는 모습이다. 이전 시즌에서는 김사부가 제자들에게 자신의 신념과 방식을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면, 이번에는 낭만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현실에 직면하는 장면들이 많다. 특히, 강동주돌담병원으로 돌아오면서 김사부의 고뇌가 더욱 부각되며, 그동안 간과해왔던 문제들을 직시하게 되는 과정이 매우 인상적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주제의식의 심화는 기존 팬들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청자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으며 드라마의 깊이를 더했다.

스승과 제자의 관계 부각

이전 시즌에서는 다소 부족하게 느껴졌던 스승과 제자의 관계가 이번 시즌에서는 한층 더 깊이 있게 다뤄졌다. 특히 장동화이선웅이라는 새로운 캐릭터들이 등장하면서 이들은 김사부와 선배들의 도움을 받아 정신적, 실력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또한, 서우진은 전 시즌에서 거의 '먼치킨' 캐릭터로 묘사되었지만, 이번 시즌에서는 손 부상과 재활 치료를 겪으며 강동주에게서 뼈아픈 조언을 듣고 다시금 올바른 의사의 길을 고민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시도는 스승과 제자가 단순히 의료 기술을 전수받는 관계를 넘어서, 서로의 인격적, 정신적 성장을 도모하는 모습으로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스케일이 커진 재난 상황

이전 시즌들에서는 주로 돌담병원 주변에서 벌어지는 소규모 사고들을 다뤘으나, 이번 시즌에서는 그 스케일이 훨씬 커졌다. 탈북민 총격, 노후 건물 붕괴, 산불 등 지역적 범위를 넘어 국가적 차원에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큰 여파를 미칠 수 있는 사건들이 연달아 발생한다. 이는 단순한 의학 드라마를 넘어서 권역외상센터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복잡하고 규모가 큰 재난 상황을 다루면서, 시청자들은 더욱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에 몰입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드라마는 영화 같은 긴박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요약

낭만닥터 김사부 3는 이전 시즌보다 한층 더 깊이 있는 주제와 캐릭터 성장에 중점을 두었다. 김사부의 내적 갈등과 제자들의 성장은 드라마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스케일이 커진 재난 상황은 시청자들의 몰입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시청자들에게 호평을 받으며 낭만닥터 김사부 3의 성공적인 시즌 완성에 큰 기여를 했다.

낭만닥터 김사부 3 평가 및 리뷰 - 혹평

난잡한 스토리 전개

이번 시즌의 스토리 전개는 많은 시청자들에게 혼란스러움을 남겼다. 등장인물들이 늘어남에 따라 각 회차마다 여러 이야기가 진행되었고, 이로 인해 스토리의 흐름이 끊기는 경우가 자주 발생했다. 특히 인물 간의 갈등이 지나치게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갈등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거나 흐지부지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서우진차은재 어머니 사이의 갈등이 제대로 풀리지 않거나, 김사부차진만 간의 갈등이 명확한 해소 없이 끝나버리는 등, 이러한 전개는 시청자들에게 피로감을 안겨주었다. 또한, 시즌 내내 감동을 주었던 장면들이 이번 시즌에서는 오히려 억지스럽게 느껴졌으며, 러브신의 과도한 등장 역시 작품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갈등이 끝내 해결되지 않으면서 스토리의 핵심 갈등인 고경숙과 돌담병원 사이의 대립은 마지막 회차까지도 제대로 해결되지 못했다.

서전으로서의 양호준 캐릭터 낭비

양호준 캐릭터는 이번 시즌에서 사실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채 방치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돌담병원외상센터에서 외상 환자의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양호준은 수술실에서 거의 활동하지 않으며 서전으로서의 모습이 전무하다. 특히, 건물 붕괴 사고 등 대규모 재난 상황에서도 양호준의 역할은 그다지 부각되지 않았고, 오히려 신입 전공의나 펠로우들이 활약하는 장면이 많았다. 결국 양호준은 의료진으로서의 존재감을 상실한 채, 극에서 단순한 인물로 머물고 말았다. 그의 행동이 빌런 역할을 맡았다면 긴장감을 높였을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양호준 캐릭터의 낭비로 마무리되었다.

후반부 캐릭터 붕괴

이번 시즌 후반부에 접어들면서 여러 주요 캐릭터들이 본래의 성격과는 다른 모습으로 행동하는 장면들이 많아지며 캐릭터 붕괴가 심하게 일어났다. 특히, 차은재 캐릭터는 극 후반부에서 외상센터를 혼란에 빠트리는 행동으로 큰 비판을 받았다. 응급 환자와 외상 환자를 구분하지 못하고 수술에 늦게 참여하는가 하면, 자신이 저지른 실수에도 불구하고 강동주에게 월권을 운운하며 적반하장으로 대드는 모습은 시청자들에게 당혹감을 안겼다. 그뿐만 아니라, 차은재와 양호준이 함께 다른 의료진들을 선동하여 외상센터에서 보이콧을 일으킨 장면은, 제자로서 김사부에게 배운 정신을 완전히 부정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며 실망을 안겼다.

김사부의 대처 부족

캐릭터 붕괴와 더불어 김사부의 대처 역시 많은 비판을 받았다. 김사부는 제자들이 외상센터에서 보이콧을 벌이면서 환자를 버리는 행동을 하는 장면에서도 이를 부드럽게 타이르기만 할 뿐, 강력한 질책이나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김사부가 냉철하고 공정한 지도자로서의 모습보다는 인자한 아저씨처럼 그려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게다가 외상센터의 예산안 검토를 위해 보건복지부 감사가 내려왔을 때도, 병원 내 갈등을 수습하지 않고 방치한 점은 시청자들의 큰 아쉬움을 샀다.

요약

낭만닥터 김사부 3의 후반부는 캐릭터 붕괴와 스토리 전개의 난잡함으로 인해 아쉬움을 남겼다. 양호준 캐릭터의 활용 부족, 차은재와 김사부의 갈등 대처 등 여러 요소가 시청자들의 기대를 저버리며, 전반적으로 작품의 완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극의 몰입도를 저하시켰으며, 후반부로 갈수록 드라마의 긴장감이 떨어지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낭만닥터 김사부 3 총평

이번 시즌은 낭만닥터 김사부 시리즈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인 ‘의사로서의 올바른 길’이라는 깊이 있는 고민을 담아냈습니다. 이 주제는 시청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시즌을 거듭하면서 의사로서의 도덕적 갈등과 윤리적 딜레마를 진지하게 다루고자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만합니다. 등장인물 간의 갈등 역시 선과 악의 이분법적 대립보다는 각자의 입장과 철학 차이에 기반한 복잡한 갈등으로 그려졌습니다. 이러한 갈등 구조는 입체적이고 현실적인 캐릭터 구성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더욱 몰입감을 주었습니다.

현실성과 비판

이전 시즌에서 시청자들이 비판했던 비현실적인 전개와 지나치게 극적인 의료 상황은 이번 시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논점으로 남아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시즌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갈등의 일부로 삼아, 의사들이 과연 언제까지 기적에 의존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주인공들이 마주하는 상황은 매우 극적이고, 때로는 현실적이지 않은 의료 방법이 제시되지만, 그 자체가 작품의 서사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는 주제로 승화되었습니다.

서사의 확장과 한계

이번 시즌의 특징 중 하나는 등장인물들의 증가입니다. 특히 돌담병원 내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갈등과 사건들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등장인물들의 서사를 16부작이라는 짧은 회차에 모두 담아내는 데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각 인물의 사연과 갈등을 충분히 풀어내지 못한 부분도 있었고, 일부 캐릭터는 그 깊이와 성장이 다소 부족하다는 느낌을 주기도 했습니다. 작가들의 역량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한 점은 아쉽지만, 후속 시즌이 있다면 이러한 서사의 부족함을 보완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후속 시즌에 대한 기대

마지막 회차에서는 캐릭터 붕괴를 어느 정도 수습하면서 후속 시즌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특히 주요 등장인물들의 갈등이 적절히 마무리되고, 남겨진 떡밥들이 후속 이야기의 가능성을 암시했습니다. 시즌 전체를 아우르는 서사는 다소 급하게 마무리된 감이 있지만, 후속 시즌에서 좀 더 깊이 있는 이야기 전개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남기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끌고 있습니다.

총평 요약

낭만닥터 김사부 3는 의사로서의 고민을 깊이 있게 다루며, 등장인물 간의 입체적인 갈등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진한 감동을 선사했습니다. 비현실적인 의료 상황에 대한 비판은 여전했지만, 이를 갈등의 일부분으로 설정하여 드라마의 주제를 풍부하게 만들어냈습니다. 다만 서사의 확장과 등장인물들의 서사를 완벽하게 풀어내지 못한 부분은 후속 시즌에서 보완해야 할 과제로 남았습니다. 마지막 회차에서는 주요 갈등을 마무리하며 후속 시즌에 대한 기대감을 남기며 마무리되었습니다.

댓글